프로젝트/PHOTOCALENDAR

    프로젝트 회고

    https://github.com/TeamEliceSnail/photocalendar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5주간의 프로젝트가 어느새 끝이 났다. 맨땅부터 시작해서 무엇을 만들까 서로 의견을 나누던 첫주와 어떤 오류가 있고 서로 필요한 부분들을 의논하면서 개발했던 나머지 주들과 그 사이사이의 피드백들, 모두 소중한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React의 경험을 얻고자 했고 이를 이뤘다고 생각하지만 완전 만족하지는 못하겠다. 리액트를 리액트답게 코딩을 했냐 하면 그런 확신은 가지기 힘들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해오며 모르는 것 투성이였고 이렇게 개발하는 것이 맞나 라는 의문도 들때가 있었다. 리액트답게 코딩을 하는 것은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컴포넌트를 세밀하게 나누어 이곳저곳에서 가져다 쓸 수 ..

    Git Organization & Update & Pull Request

    Git Organization & Update & Pull Request

    그 동안 Git을 사용해오면서 그렇다할 기능은 사용보지 않고 그저 pull push만 반복해온 내 개발인생.. 드디어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깃을 깃답게 사용할 발판이 되리라 믿는다~ 협업을 위한 깃 사용방법 1. git을 이용해 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먼저 git organization 을 개설해 팀을 꾸려준다. 2. 해당 Repository 안에 팀이 같이 할 목적인 Repository를 생성한다. 3. 해당 repo에 팀원에게 맞는 권한을 준다 Git을 통해 협업하는 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권한이 없는 프로젝트에서 fork를 하고 pull request를 하는 방법 권한이 있는 프로젝트 자체를 clone 받아와 직접 pull request 하는 방법 물론 2번의 방법으로도 fork를 하여 작업을 ..

    애자일 방식 협업 팀프로젝트 시작

    애자일 방식 협업 팀프로젝트 시작

    운이 좋게도 좋은 팀원들과 첫 스터디에서의 첫 프로젝트를 하게 되었다. 엘리스 트랙과 동시에 진행되는 만큼 스터디는 부가적인 느낌이지만 그래도 최선을 다해보자 목표 목표는 엘리스에서 진행하는 1차 스터디의 기한 내에 하나의 프로젝트를 완성해 보는 것. 실제 현업에서 진행하는 애자일 방식의 프로젝트 진행을 최대한 비슷하게라도 흉내를 내어 협업의 경험도 겪는 것 이번 스터디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이 2번의 목표이다. 보통 스터디를 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이 정도까지 해야하나 싶은 것들을 경험하며 협업의 경험을 얻는 것이 나에겐 가장 큰 것 같다. 그렇다면 어떻게 흉내를 낼지 보자 지라, 슬랙, 디스코드 등 모든 도구의 활용 와 Pull request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지라를 통해 팀 전체의 스케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