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지식/TypeScript
함수와 매개변수
JavaScript와 TypeScript의 함수는 일급 객체이다. 일급 객체란 다른객체들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연산을 모두 지원하는 객체를 일급 객체라고 한다. 일급 객체의 조건으로 다른 함수에 매개변수로 제공할 수 있고, 함수에서 반환, 변수에 할당이 가능한 것이 조건이다. 함수 선언 방법엔 5가지가 있다. 함수 선언식 function world(name){ return 'hello${name}'; } 2. 함수 표현식 let world2 = function(name){ return `hello${name}`; } 3. 화살표 함수 표현식 let world3 = (name)=>{ return `hello${name}`; } 4. 단축형 화살표 함수 표현식 let world4 = name => `he..
Utility types (추가 예정)
타입스크립트는 공통 타입 변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역으로 사용 가능한 유틸리티 타입을 제공한다. 종류 Partial, Readonly Record, Pick Omit, Exclude, Extract NonNullabel, Parameters, ConstreuctorParameters ReturnType, Required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Utility type Partial 프로퍼티를 선택적으로 만드는 타입을 구성한다. 주어진 타입의 모든 하위 타입 집합을 나타내는 타입을 반환한다. Readonly 프로퍼티를 읽기 전용으로 설정한 타입을 구성한다. Record 프로퍼티의 집합 K로 타입을 구성한다. 타입의 프로퍼티들을 다른 타입에 매핑시키는 데 사용한다. Pick 프로퍼티 K의 집합을 선택해 ..
TypeScript의 Type
타입스크립트는 변수나 함수 등 Type을 정의할 수 있는데, 타입 표기를 사용한다. 타입스크립트의 Type은 기본자료형, 참조 자료형, 추가 제공 자료형 이 있다. 기본 자료형 object와 reference 형태가 아닌 실제 값을 저장하는 자료형, 기본자료형 내장 함수를 사용 가능 → 이는 JS 처리 방식 덕분 종류 string boolean number null undefined symbol (ES6 추가) let str: string = "test"; let isSucceeded: boolean = true; let num: number = 3; let n: null = null; let u: undefined = undefined; 참조 자료형 객체, 배열, 함수 등과 같은 Object형식의 타입..
TypeScript 는 왜 사용할까?
✨ 클린 코드 클린 코드란 개끗하게 작성된 코드를 의미한다. 이러한 코드는 누가 보더라도 의도가 명확히 드러나 가독성이 좋고, 의존성을 줄여 유지보수가 쉬운 특징이 있다. 타입스크립트는 타입을 추가함으로써 클린코드를 작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타입이 필요한 이유 let text = 'elice'; console.log(text.charAt(0)); /// 'e' 출력 자바스크립트는 알다시피 동적 타이핑을 지원한다. 위의 예제에서 문자열 타입의 변수가 문자형으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는 데 이 동적 타이핑은 얼핏보면 편리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음 예제 코드를 보자 text =12345; console.log(text.charAt(0)); 위의 예제를 실행하면 TypeError: text.char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