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

    [boj 2490] 윷놀이

    문제 우리나라 고유의 윷놀이는 네 개의 윷짝을 던져서 배(0)와 등(1)이 나오는 숫자를 세어 도, 개, 걸, 윷, 모를 결정한다. 네 개 윷짝을 던져서 나온 각 윷짝의 배 혹은 등 정보가 주어질 때 도(배 한 개, 등 세 개), 개(배 두 개, 등 두 개), 걸(배 세 개, 등 한 개), 윷(배 네 개), 모(등 네 개) 중 어떤 것인지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째 줄부터 셋째 줄까지 각 줄에 각각 한 번 던진 윷짝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네 개의 정수(0 또는 1)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셋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씩 결과를 도는 A, 개는 B, 걸은 C, 윷은 D, 모는 E로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0 1 0 1 1 1 1 0 0 0 1 1 예제 출력 1 B A..

    [boj 10798] 세로읽기

    아직 글을 모르는 영석이가 벽에 걸린 칠판에 자석이 붙어있는 글자들을 붙이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 이 장난감에 있는 글자들은 영어 대문자 ‘A’부터 ‘Z’, 영어 소문자 ‘a’부터 ‘z’, 숫자 ‘0’부터 ‘9’이다. 영석이는 칠판에 글자들을 수평으로 일렬로 붙여서 단어를 만든다. 다시 그 아래쪽에 글자들을 붙여서 또 다른 단어를 만든다. 이런 식으로 다섯 개의 단어를 만든다. 아래 그림 1은 영석이가 칠판에 붙여 만든 단어들의 예이다. A A B C D D a f z z 0 9 1 2 1 a 8 E W g 6 P 5 h 3 k x 한 줄의 단어는 글자들을 빈칸 없이 연속으로 나열해서 최대 15개의 글자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만들어진 다섯 개의 단어들의 글자 개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심심해진 ..

    문자열 재정렬

    function solution10(str){ let num = str.split('').filter(n=> !isNaN(n)); let strArr = str.split('').filter(n=> isNaN(n)).sort().join(''); let temp = 0; for (const iterator of num) { temp += parseInt(iterator); } console.log(strArr + temp); } 몰랐던 점 isNaN : 숫자가 아닌경우 다 true 예외의 경우가 많으니 더 찾아보기

    왕실의 나이트

    왕실의 나이트

    function solution9(loc){ let move_types= [ [-2,-1], [-2,1], [2,-1], [2,1], [-1,-2], [1,-2], [-1,2], [1,2] ] let count = 0; let x = parseInt(loc.split('')[0].charCodeAt()-96); let y = parseInt(loc.split('')[1]); for (const move of move_types) { count++; console.log(`x +move[0]: ${x +move[0]}`) console.log(`y +move[1]: ${y +move[1]}`) if(x + move[0] 8 || y +..

    시각

    시각

    function solution8(h){ let count = 0; for(let i =0;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