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ux127
Jinux
jinux127
  • 분류 전체보기 (109)
    • 엘리스 SW 엔지니어 트랙 (6)
      • TIL (6)
    • 개발지식 (22)
      • React (4)
      • JavaScript (9)
      • Web (4)
      • Node.js (1)
      • TypeScript (4)
    • 알고리즘 (69)
      • 백준 (47)
      • 프로그래머스 (14)
      •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6)
    • 프로젝트 (10)
      • PHOTOCALENDAR (3)
      • 빙수먹을래? (7)
    • Life (0)
      • 헬스 (0)
      • 독서 (0)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 블로그 이전

인기 글

태그

  • 그리디
  • 구현
  • node.js
  • 문법
  • CSS
  • 알고리즘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jinux127

Jinux

개발지식/JavaScript

화살표 함수

2022. 2. 2. 18:15

 

// 기본
(p1,p2,...m,pN) => {st}

// 매개변수가 하나일 경우 괄호 생략가능
singleParam => {st}

// 매개변수가 없을 경우 괄호 필요
() => {st}

 

화살표 함수는 this 대신 화살표 함수를 둘러싸는 렉시컬 범위의 this가 사용된다.

화살표 함수는 일반 변수 조회 규칙을 따른다. → 현재 범위에서 존재하지 않는 this를 찾을 때 화살표 함수 바로 바깥 범위에서 this를 찾는다.

 

function Person(){
  this.age = 0;

  setInterval(() => {
    this.age++; // |this|는 Person 객체를 참조
  }, 1000);
}

var p = new Person();​

화살표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객체 지향 스타일로 프로그래밍할 때 좋다고 함! 아직 체감은 안됨..ㅠ

 

 

 

 

 

 

 

 

 

 

'개발지식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열  (0) 2022.02.10
함수형 메서드들의 오야지 reduce  (0) 2022.02.10
진수 변환  (0) 2022.02.10
slice, splice  (0) 2022.02.02
{...}[...] 문법  (0) 2022.02.02
jinux127
jinux127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