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백준
[boj 2108] 통계학 - js
jinux127
2022. 3. 7. 15:28
문제
수를 처리하는 것은 통계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통계학에서 N개의 수를 대표하는 기본 통계값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단, N은 홀수라고 가정하자.
- 산술평균 : N개의 수들의 합을 N으로 나눈 값
- 중앙값 : N개의 수들을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했을 경우 그 중앙에 위치하는 값
- 최빈값 : N개의 수들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 범위 : N개의 수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네 가지 기본 통계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단, N은 홀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정수들이 주어진다. 입력되는 정수의 절댓값은 4,0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는 산술평균을 출력한다.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중앙값을 출력한다.
셋째 줄에는 최빈값을 출력한다. 여러 개 있을 때에는 최빈값 중 두 번째로 작은 값을 출력한다.
넷째 줄에는 범위를 출력한다.
// 통계학
const filePath = process.platform === "linux" ? "/dev/stdin" : "input.txt";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filePath).toString().trim().split(/\s/).map(Number); // vscode 테스트용
const N = input.shift();
const frequencyArr = input.reduce((acc, curr) => {
acc[curr] = (acc[curr] || 0)+1;
return acc;
}, {});
const maxFrequency = Math.max.apply(null, Object.values(frequencyArr));
let mode = [];
Object.keys(frequencyArr).forEach(key=>{
if(frequencyArr[key] === maxFrequency) mode.push(Number(key));
});
const sol = (N, input) =>{
console.log(Math.round((input.reduce((acc,cur)=>acc+cur,0)/N))+0);
console.log(input.sort((a,b)=>a-b)[Math.floor(N/2)]);
if(mode.length > 1){
mode.sort((a,b)=>a-b);
console.log(mode[1]);
} else {
console.log(mode[0]);
}
console.log(Math.max(...input) - Math.min(...input));
}
sol(N, input);
Math.max 와 min 메소드를 이용해서 풀면 금방 풀겠지했는데,, 최대 빈도수가 복병이였다..
덕분에 apply 도 다시 한번 학습하고 좋았다.
최대 빈도값
1. key = 해당 숫자, value = 빈도 로 오브젝트를 생성
2. 오브젝트에서 value(빈도)가 최대인 값을 찾아서 mode 배열에 푸시
3. 최대 빈도값 출력
4. 문제 조건에 맞게 최대 빈도가 같은 key(해당 숫자)인 값들이 여러개면 그중 두 번째로 작은 값을 출력
평균
생각치 못한 값이 있는데 바로 -0이 출력될 경우이다. 이 경우 +0을 해주면 0 이 출력된다~